본문 바로가기
TOP
마케터의 석사생활/논문 리뷰

[논문 노트] Smellizing cookies and salivating: A focus on olfactory imagery

by 티챠림 2022. 3. 25.

*개인적으로논문 내용 중 일부를 정리,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Smellizing cookies and salivating: A focus on olfactory imagery

Krishna, A., Morrin, M., & Sayin, E. (2014)


본 논문은 후각적 이미지가 제품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저자는 후각적 속성이 강한 식품, 장소, 제품 등을 노출하는데 있어 후각적 이미지를 사용한다면 소비자의 선택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생물학적으로 인간은 냄새를 감지하면 뇌가 그것이 무엇인지 식별하고 그 냄새가 좋은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냄새를 식별할 때 인산은 자신이 경험한 냄새와 비교하고 감정적/정서적 상호작용을 거치게 된다.  쾌락적인 특성을 지닌 냄새(좋은 냄새, 맛있는 냄새)라고 하더라도 의미적으로 좋은 냄새로 식별되어야만 해당 냄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뇌에서 후각을 처리하는 프로세스와 시각을 처리하는 패턴은 상당히 유사하다. 인간은 대상을 직접 보지 않고 상상을 통해 정진적인 시각화를 할수 있는 것처럼 냄새도 직접 맡지 않고 상상으로 떠올릴 수 있다. 

 

시각적 이미지는 인간이 물체나 사건을 실제로 보지 않고도 그것을 상상하는 이미지를 포함한다. 과거 심리학연구에서는 후각 이미지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최근 연구에 들어서 어떤 냄새가 나는지에 대한 상상도 시각 이미지로써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과거 연구에서 후각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을 통해 상상된 냄새의 인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상된 냄새와 실제 냄새가 유사한 방식으로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시각적 이미지와 후각적 이미지의 차이는 상상된 대상을 식별하는 것에 있다. 시각적 이미지는 그자체로 대상을 식별하는 단서가 되지만, 후각적 이미지는 냄새를 지각했다 하더라도 그 냄새가 어떤 대상에 의한 것이지 잘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시각적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것보다 후각적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것이 더 어렵다. 저자는 비슷한 두 감각의 매커니즘을 통합하여 후각 이미지의 활성화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했는데, 냄새에 대한 이미지를 참조하는 것으로 후각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게 하고 냄새를 상상하기 쉬워진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참조된 이미지를 통해 후가 이미지가 활성화되고 이는 냄새와 관련된 제품에 대한 반응을 강화시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