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
마케터의 석사생활/논문 리뷰

[논문 노트] Risk as Feelings, Loewenstein et al(2001)

by 티챠림 2021. 10. 1.

Risk as Feelings

Loewenstein et al,  2001

 

*논문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부를 정리, 개인적으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하고 위험이 존재하는 선택상황에서 감정을 미치는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한 즉각적인 내장적(visceral) 반응인 선행감정(Anticipatory Emotion)과 미래 경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감정(Anticipated Emotion)으로 구분하고 선행감정을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논의한다. 선행감정은 직감으로, 어두운 골목을 걷고 있을 때 뒤에 누군가가 따라오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판단하기도 전에 반사적으로 두려움을 느끼는 것을 들 수 있다. *내장적 반응 : 위험상황에 대한 놀람, 소름 등 신체 반응

 

전통적인 이론에서는 감정을 우발적이거나 부수적인 요인으로 생각하고, 인지적으로 평가와 결과에 대해서만 집중하는 결과주의적인 시각으로 논의하였다. 반면 이 논문에서는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았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선행감정은 인지적 평가보다 더 빠르고 근본적인 반응으로 보며, 신속한 선택과 행동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고 설명한다.

 

결과주의적 관점 vs Risk-as-feeling 관점

 

 

선행 감정(Anticipatory Emotion)목전에 닥친 위험 상황에서 인지적 정보 처리를 중단하고 재조정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며, 위험성이 존재하는 선택상황에서 감정은 위험을 회피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험에 대한 감성적 반응이 일어나는 이유는 위험에 대한 묘사가 생생할 수록, 위험이 임박할 수록(시간의 근접성), 주변 사람들이 공포를 느낄수록(집단공포) 강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진화론적인 관점(진화론적 준비상태)으로도 설명되는데 쥐나 뱀 같은 위험요소에 대해 어떠한 인지나 생각을 거치지 않고 피하는 행동을 예로 들 수 있다. 

 

감성적 반응(feeling)과 인지적 평가(Coginitive evaluation)가 서로 충돌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상황에서 감정이 더욱 지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때문에 적응적(생존에 유리한, 합리적인) 선택을 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눈길 운전 시 두려움 때문에 브레이크를 더 세게 밟고 이는 차량이 더욱 잘 미끄러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다시 말해 감정적 반응은 인지적 평가에 반응하기는 하지만 인지적인 평가나 정보처리가 반드시 필요로하지 않는다. 또한 확율 차이는 비교적 선행감정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반대로 감성적 반응이 결여되었을 때는 위험한 선택을 하는데 두려움을 덜 느끼고, 위험한 선택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보인다. 감정을 느끼는 전두엽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과 아닌 사람들을 비교하였을 때, 전두엽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아닌 사람들 보다 위험한 선택을 많이 했다.

 

 


간단 요약


 

 감성적 반응의 역할

1) 위급한 상황에서 더욱 빠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함(인지적 평가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음)

2) 위험을 회피하게 함(미래를 내다보고 의사결정을 수행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수행)

 

 

감성적 반응의 구분

1) 선행감정(Anticipatory Emotion): 반사적, 즉각적으로 느끼는 감정

*인지적 평가나 정보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음

2) 예상되는 감정(Anticipated Emotion): 결과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는 감정

*인지적 평가나 정보 처리가 영향을 미침

 

 

감성적 반응이 강화되는 원인

1) 위험에 대한 묘사가 생생할 수록

2) 위험이 발생할 시간에 가까울 수록

3) 속한 집단이 공포를 느낄 수록

 

 

감성적 반응과 인지적 평가의 괴리

1)감성적 반응이 지배 적일 때:

머리로 생각하기 전에 행동을 함 -> 위험을 빠르게 회피할 수 있음 or 잘못된 선택을 할 수 있음

ex1. 뱀을 발견하고 반사적으로 피함

ex2. 빙판 길에서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음

 

2)감성적 반응이 결여되었을 때:

위험을 덜 민감하게 인식함 -> 위험한 선택을 할 수 있음

ex. 위험한 투자를 시도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