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논문 내용 중 일부를 정리,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Self-Control in Action: Implicit Dispositions Toward Goals and Away From Temptations.
Fishbach, Ayelet, and James Y. Shah (2006)
본 논문은 목표 추구와 유혹 회피를 유발하는 암묵적인 성향(Implicit Dispositions)를 설명하고 작용 매커니즘과 척도를 이론화한다. 자기통제는 상충되는 목표들이 존재할 때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장 중요한 목표를 추구하고, 상충되는 목표는 유혹으로 상정하고 회피한다. 그리고 유혹의 대상(자극)을 멀리하고, 목표 추구 대상(자극)을 가까이 하는 것으로 장기적인 목표추구의 유지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자기 통제는 의식적인 의도를 가질때 유지되기도 하지만 의식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개인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것으로 유혹을 억제하고 최우선 목표에 집중하며, 목표 실현을 위해 계획을 활성화된다. 즉, 사람들은 자각이 없는 상태에서 자극에 접근하거나 회피하는 것처럼 자동적(반사적)으로 목표를 추구하고 유혹을 회피하려는 암묵적인 성향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암묵적인 자제는 의도를 갖고 유지하는 명시적인 자제보다 더 적은 자원을 소모하고, 자기통제를 유지하는데 더 적은 스트레스 받는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자기통제에 대한 암묵적이 성향은 장기적인 목표가 존재할때 형성되며 목표에 일치하는 자극 보다 유혹 자극에 대해 더 빠르게 반응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성향은 개인차가 존재하며 암묵적 성향이 강한 사람은 유혹의 자극이 클 수록 통제력이 커지는 반면 약한 사람은 요혹의 자극이 클 때 통제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