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
마케터의 석사생활/논문 리뷰

[논문 노트] How am I doing? Perceived financial well-being, its potential antecedents, and its relation to overall well-being.

by 티챠림 2022. 3. 2.

*논문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부를 정리, 개인적으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How am I doing? Perceived financial well-being, its potential antecedents, and its relation to overall well-being. 

Netemeyer, R. G., Warmath, D., Fernandes, D., & Lynch Jr, J. G. (2018)


본 논문은 '지각된 재정적 웰빙(perceived financial well-being)'에 대해 정의하고, 개인이 자신이 재정적 웰빙을 어떤 척도로 평가하여 인식하는지 설명한다. 개인의 삶에서의 전반적인 웰빙은 현재 삶에 대한 만족감, 자기가치, 소속감, 목적과 성취감, 미래에 대한 전망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재정적 웰빙을 원인변수로 전반적인 웰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재정적 웰빙이란 개인이 자신의 재정적 영역에 대한 평가로써 단순히 소득과 지출과 같은 수치 이상으로 그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관적인 평가는 '현재의 자금관리 스트레스(Current Money Management Stress)'와 '미래 재정적 안정성에 대한 전망(Expected Future Financial Security)'에 대한 두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현재 자금관리 스트레스에 선행하는 조건으로 지연 및 최소 지불, 물질주의, 자제력 부족이 있다. 즉, 연체나 지불금액에 대한 스트레스, 신용카드 사용이나 대출, 충동적인 지출 등의 물질주의적 행동이 증가할 수록, 그에 대한 청구서 및 부채에 대한 지불 금액이 크고 지연이 길어질 수록 현재의 자금관리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들은 자체력이 부족할 수록 증가한다. 미래 재정적 안정성에 대한 전망에선행하는 조건으로는 현재의 자금 관리 스트레스, 긍정적 재정 행동, 투자 위험을 감수하려는 의지, 장기적인 자금 계획, 재정적 자기 효능감 인식이 있다. 현재 자금관리 스트레스가 적을 수록 미래 재정적 안정성에 대해 긍정적이게 평가하며, 미래 재정적 안정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할 수록 전반적인 웰빙(삶의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또한 저축이나 투자 등 긍정적인 재정행동이 많을 수록, 그러한 투자 위함을 감수하려는 의지가 많을 수록 미래 재정 안정성에 대한 기대는 높아진다. 그리고 지출의 목표를 설정하고 하위 목표를 달성하며 자발적이고 장기적인 자금계획과 자신이 효과적인 재정적 결정을 내릴 능력이 있다는 믿음이 클 수록 미래 재정 안정성에 대한 전망을 긍정적으로 예측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득은 전반적인 웰빙에 직접적인 원인변수가 아니며, 현재의 자금관리 스트레스를 완화하시키는 조절변수로써 전반적인 웰빙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고 설명한다. 즉, 소득의 증가는 자금관리 스트레스가 높을 때 전반적인 웰빙을 증가시며, 저소득층일 수록 크게 영향을 미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