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
마케터의 석사생활/논문 리뷰

[논문 노트] Wine for the Table: Self-Construal, Group Size, and Choice for Self and Others.

by 티챠림 2022. 3. 14.

*개인적으로논문 내용 중 일부를 정리,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Wine for the Table: Self-Construal, Group Size, and Choice for Self and Others.

Wu, E. C., Moore, S. G., & Fitzsimons, G. J. (2019)


본 논문은 자신과 타인이 함께하는 그룹에서 자신이 그룹을 대표해 선택하는 상황을 다루며, 소비자가 공동의 선택을 할 때 자신의 선호와 타인의 선호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과정에 대해 탐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자기해석(Self-Construal)' '그룹의 크기'를 공동 선택에 미치는 내부적/개별적 요인과 외부적/상황적 요인으로 가정한다.

 

자기해석(Self-Construal)은 사회적인 환경과 관련하여 자신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독립적인 자기해석과 상호의전적인 자기해석으로 나눌 수 있다. 독립적 자기해석은 자신을 사회적인 환경과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특성으로 정의하며, 주변 환경 보다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인다.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자신을 사회적 환경과 연결하여 사회적 관계, 역할, 의무의 측면에서 정의하며, 자신 보다 타인과 같은 주변환경에 더 주의를 기울인다. 한 개인은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을 동시에 가지고 있고, 일시적으로 한 측면이 부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의사결정권자가 상호의존적인 자기해석을 가질 때 자신의 선호와 타인의 선호의 균형을 이루는 결정을 할 가능성이 클 것을 예상했다. 

 

그룹의 크기는 사람의 행동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작은 그룹에 속할 때 보다 큰 그룹에 있을 때 타인에 대해 적은 관심을 기울인다. 작은 그룹에 있을 때 자신의 위치에 더 민감하고 공유자에 대한 초첨이 증가한다. 반면, 큰 그룹에 있을 때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덜 주의를 기울이며, 개인의 고유한 특성을 적게 드러낸다. 저자는 이러한 경향을 바탕으로 그룹이 클 때, 타인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면서 공동의 결정 상황에서 의사결정자 개인의 선호가 강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험결과 상호의존적인 소비자들은 자신이 속한 그룹의 크기와 상관없이 자신과 타인의 선호에 균형을 맞추는 결정을 내렸다. 반면 독립적인 소비자들은 그룹의 크기에 따라 선호의 균형을 달리했다. 작은 그룹에서는 자신과 타인의 선호에 균형을 맞추고, 큰 그룹에서는 자신의 선호를 더욱 강하게 반영한 결정을 내렸다. 

 

더보기

공동 소비 상황에서의 선택

: 선택의 옵션을 그룹(나와 타인)과 공유하고 결정을 통해 함께 소비함.

 

ex)

테이블에서의 와인 선택

친구와 함께 볼 영화 선택

팀 식사를 위한 레스토랑 선택

 

자기해석

: 자기해석에 따라 자신의 선호와 타인의 선호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향상이 다름.

- 독립적 자기해석: 자신을 사회적인 환경과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특성으로 정의하며, 주변 환경 보다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임

-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자신을 사회적 환경과 연결하여 사회적 관계, 역할, 의무의 측면에서 정의하며, 자신 보다 타인과 같은 주변환경에 더 주의를 기울임

 

그룹의 사이즈

: 사람이 많을 수록 개인에 대한 관심이 줄어듬.

- 작은 그룹

- 큰 그룹

 

ex)

1500명일 때 자기평가가 나쁜 것보다 5명일 때 자기평가가 나쁜 것에 더 크게 영향을 빋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