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

분류 전체보기123

[논문 노트] When Choice is Demotivating : Can One Desire Too Much of a Good Thing?, Iyeangar & Lepper(2000) When Choice is Demotivating : Can One Desire Too Much of a Good Thing? yeangar & Lepper, 2000 *논문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부를 정리, 개인적으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본 논문은 선택지의 범위(선택지가 많고 적음)이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광범위한 선택 옵션(Extensive choice option)일 때(선택지가 많은 경우) 소비자는 더 매력을 느끼지만 최종 구매까지 이어진다고 할 수 없고 구매결정을 오히려 감소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제한된 선택 옵션(limited choice optio.. 2021. 10. 1.
[논문 노트] Risk as Feelings, Loewenstein et al(2001) Risk as Feelings Loewenstein et al, 2001 *논문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부를 정리, 개인적으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하고 위험이 존재하는 선택상황에서 감정을 미치는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한 즉각적인 내장적(visceral) 반응인 선행감정(Anticipatory Emotion)과 미래 경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감정(Anticipated Emotion)으로 구분하고 선행감정을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논의한다. 선행감정은 직감으로, 어두운 골목을 걷고 있을 때 뒤에 누군가가 따라오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판단하기도 전에 반사적으로 두려움을 느끼는 것.. 2021. 10. 1.
[논문 노트] Less is Better, Hsee(1998) Less is Better Hsee, 1998 *논문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부를 정리, 개인적으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기존의 선호역전(trade-off)와 관련된 이론은 위험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는데, 본 논문에서의 "Less is Better" 효과는 위험성이 존재하지 않는 선택 상황에서 가치가 높은 선택지(High-valued option)보다 가치가 낮은 선택지(Low-valued option)을 선택하는 경향을 설명한다. "Less is Better" 효과는 의사결정자에게 가치가 높은 선택지와 가치가 낮은 선택지를 각각 별도로 평가하게 했을 때 나타나며, 두 선택지.. 2021. 10. 1.
[논문 노트] The Mere Urgency Effect, Zhu Yang & Hsee(2018) The Mere Urgency Effect Zhu Yang & Hsee, 2018 리뷰 *논문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부를 정리, 개인적으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이 '중요한 일'이냐 ,'긴급한 일'이냐에 따라 의사결정을 달리한다는 것과 중요한 일보다는 긴급한 일을 우선해서 수행한다는 점을 밝혔다. 사람들은 제한시간 또는 만료기간이 주어졌을 때 선택으로 인한 결과보다 만료시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긴급성 효과는 결과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효과가 줄어들고, 자신이 바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일 수록 긴급성 효과에 대한 영향이 크다는 것을 밝혔다. 2021. 9. 24.
[논문 노트] The Influence of Categorical Attributes on Choice Context Effects, Ha Park & Ahn(2009) The Influence of Categorical Attributes on Choice Context Effects Ha Park & Ahn, 2009 *논문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부를 정리, 개인적으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본 논문에서는 유인효과와 타협효과가 나타나는 경계 조건을 설명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각 대안을 수량적인 속성만으로 단순하게 평가했다면, 이 연구에서는 '속성의 카테고리'라는 개념을 도입해 보다 복잡한 의사선택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범주형 속성이 주어졌을 때 유인효과는 완화되고 타협효과는 유지된다는 점을 밝혔다. 범주형 속성이 주어졌을 때 사람들은 범주형 속성.. 2021. 9. 24.
[논문 노트] Choice Based on Reasons_The Case of Attraction and Compromise Effects, Simonson(1989) Choice Based on Reasons_The Case of Attraction and Compromise Effects Simonson, 1989 *논문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부를 정리, 개인적으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완 또는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사람들은 선택 상황에서 선호 기준이 불확실할 때 나름대로의 합리적인 이유를 들어 대안을 선택한다. 특히, 기존의 대안에 새로운 대안이 추가될 때 각 대안에 대한 선택 확률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1989년 사이먼스(Simonson)가 발표한 논문 Choice Based on Reasons_The Case of Attraction and Compromise Effect.. 2021. 9. 24.